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식습관 바로잡기: 우리 아이 편식, 이렇게 해결했어요

by SooLight 2025. 5. 23.
반응형

 

안녕하세요, 엄마들 😊
초등학교 2학년 아들과 만 2세 딸아이를 키우다 보면 매일 밤상이 ‘작은 전쟁터’가 되는 날도 많았어요.
편식은 단순히 음식 문제만이 아니라 아이의 건강, 감정, 성장까지 연결되다 보니 더 신경이 쓰이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우리 집에서 직접 해본 편식 해결법을 나눠보려 해요. 엄마로서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방법들이에요!

 

야채가득 샌드위치를 맛있게 먹고 있는 어린이

 

1. 억지로 먹이기보다 '경험'을 먼저 주세요

아이가 싫어하는 음식을 억지로 먹이려고 하면 오히려 거부감만 더 생겨요.
저희 집은 '한 입만 경험하기'를 실천하고 있어요. 먹기 싫으면 그냥 접시에 올려만 두고, 엄마 아빠가 먼저 맛있게 먹는 모습을 보여줘요. 그랬더니 어느 날은 둘째가 슬쩍 한 입, 또 어느 날은 첫째가 “엄마 이건 조금 괜찮네”라고 하더라고요. 처음부터 좋아하게 하려 하지 말고, 익숙해지게 하는 것부터 시작하는 게 핵심이에요.

한 입만 먹고 먹고 싶지 않다고 하더라도 괜찮아요. 이 식재료를 경험해 봤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2. 놀이처럼! 요리에도 아이를 참여시켜 보세요

아이들은 자기 손으로 만든 음식에는 관심이 더 많아요.
둘째는 아직 어려서 재료를 만지는 정도지만, 초2 첫째는 재료 씻기, 간단한 샐러드 만들기 등을 함께해요. 아이가 직접 야채를 고르고 자르고 요리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친숙함을 느껴요. “이거 내가 만들었어!”라는 자부심 덕분에 평소엔 절대 안 먹던 브로콜리도 입에 넣더라고요. 놀이처럼 접근하는 요리 시간, 편식 극복의 진짜 꿀팁이에요!

3. 비교보다 공감, 칭찬으로 유도해요

“동생은 잘 먹는데 너는 왜 안 먹어?” 이런 말, 저도 한두 번쯤 해봤어요. 그런데 이런 비교는 아이 마음에 상처만 남기더라고요. 그래서 이제는 “먹기 힘들지? 그래도 한 입 먹어봤으니 대단해!”라고 말해줘요. 먹는 양보다 먹어보려는 시도 자체를 칭찬하는 거예요. 그러면 아이도 부담 없이 도전하게 돼요. 꾸준한 칭찬은 편식뿐 아니라 아이 자존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줘요.

결론

편식은 하루아침에 해결되진 않지만, 작은 습관과 시도가 쌓이면 분명 변화가 보여요.
우리 아이가 음식과 더 가까워지고, 건강하게 자라길 바라는 마음은 다 똑같죠.
억지보다 공감, 비교보다 응원, 그리고 무엇보다 아이의 시선에서 함께하는 시간이 중요해요. 오늘도 밥상 앞에서 고군분투 중인 모든 엄마들, 정말 잘하고 계세요! 💪🍽️

반응형